연혁
- 북쪽의 남양면에 조선시대 벽사도 찰방9역의 하나인 양강역이 있어 역을 지나왔다하여 과역이라 칭함.
- 원주도 백일도등은 전라좌수영 산하 여도진(점암면 여호리)이여도 만호의 관할이었음.
- 진이 폐지 조선 말기 후 백일도는 돌산군 옥정면에 속함.
- 1914년 돌산군 화정면 백일 리가 본면에 편입.
- 1931년 남면을 과역면이라 칭함.
- 1937년 남면과 남양면의 일부 폐함 현재 신곡, 백일, 연등, 호덕, 석봉, 과역, 노일, 도천 8개리 관할.
- 1937. 5. 31 과역리 175번지에 청사 신축 34평(현 작은도서관, 주민자치센터 등).
- 1976. 9.15 과역면사무소 구청사 신축(100평).
- 1988. 12. 1 면민 종합복지회관 건립(110평).
- 1997. 8. 23 과역면 과역리 404-7번지에 현 청사 신축 이전(부지 2117평, 연건평 235평).
지명유래
신곡리 | 구곡 (九龍) |
마을의 지형이 풍수지리상 구룡쟁주형(九龍爭珠形)이므로 마을 명을 “구곡(九龍)”이라 하였으며 마을의 좌우에 있는 오병산의 줄기가 아홉 골짜기이므로 구곡(九谷)이라 개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이곳에 임진왜란 당시 이충무공 휘하에서 큰공을 세운 여산인 송희립(宋希立)장군을 제향하는 사우가 있고 고령신씨 제각인 추모제가 있다. |
---|---|---|
심포 (深浦) |
옛날 바닷물이 마을 앞 150m까지 들어왔다고 하여 마을 명을 “지푼개”라 불리어왔으나 1930년 일제강점기 지방 행정구역개편시 마을 명을 한자화할 때 깊을 심(深) 개 포(浦)로 고쳐 심포(深浦)로 한 이래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신기 (新基) |
마을 지형이 돼지모양으로 생겼다하여 “저동”으로 이름하여 일명 “도수골”이라 불리다가 마을확장으로 마을뒷산 지형이 잉어와 같이 생겨 “잉어등”이라 하였으나 한일강제병합 이후 1914년 일제강점기 초기 지방행정구역 통폐합 시 제방축조로 인하여 새로터를 잡은 마을이라 하여 마을명을 “신기”로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인학 (仁鶴) |
옛날 설촌 시 안인이란 부자가 살던 고기(古基)라고 전하여 마을뒷산 형국이 학처럼 생겼다하여 부자의 이름인 안인(安仁)의 인(仁)자와 학(鶴)자를 따서 마을 이름을 인학(仁鶴)이라 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지금도 안인(安仁)의 부자집터의 옛집 기와장이 발굴되고 있다. | |
백일리 | 내백 (內白) |
조선시대에 여도진에 속하였다가 진(鎭)이 없어진 뒤에 돌산군(突山郡) 옥정면에 편입되었으나 1914년 지방행정구역 폐합 시 고흥군 남면에 소속되었는데 섬안에 일월명지(日月明地)가 있어 밝고 흰 것을 나나낸다는 뜻으로 마을명을 “해나리”라고 불러오면서 이를 한자로 백일도(白日島)라 하였으며 해방이후 1956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백일리(白日里)의 안에 있는 마을이므로 마을 명을 내백(內白)이라 칭하였다. |
원주 (元珠) |
당초에는 돌산군(突山郡) 옥정면(玉井面)에 소속 되었을 때 마을 이름을 둥글 원(圓)자에 구슬 주(珠)자를 합하여 원주(圓珠)로 하였으나 일제강점기 초기 1914년에 지방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고흥군 남면에 편입되면서 마을의 섬 지형이 구슬 같다고 하여 또는 새우가 구슬을 건진다는 뜻으로 구슬 주(珠)자를 따서 마을 명을 원주(元珠)로 고쳐 부른 이래 독립마을로 유지되고 있다. | |
외백 (外白) |
조선시대 전라좌수영관할 여도진에속한 마을로서 돌산군 옥정면에 소속되었다가 1914년 일제강점기 초기에 행정구역 폐합 당시 고흥군 남면으로 편입되었으며 그 후 1937년 남면과 남양면 일부가 폐합되면서 과역면(過驛面)으로 소속되었는데 1956년 리동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섬밖에 위치하므로 마을 명을 외백(外白)이라 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설촌(設村)당시 최충(崔忠)이 심은 고목이 좋아 마을 명을 박길도(朴吉島)라고 칭했다고 한다. | |
옥금 (玉金) |
1910년 한일강제병합 이전에는 마을 명은 미상(未詳)이나 일제강점기 초기 1914년 지방행정구역 폐합 당시 고흥군 남면으로 편입 되었으며 다시 1937년 과역면으로 편입되면서 마을 뒷산이 옥녀봉(玉女峯)이라 불러 산의 지형이 옥녀탄금형(玉女彈琴形)이라 하였고 마을 옆으로 띠박금 이라는 곳이 있어 그곳에서 금(金)이 나왔다하여 옥(玉)자와 금(金)자를 따서 마을 명을 옥금(玉金)으로 칭한 이래 변함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연등리 | 독대 (獨垈) |
원래 과역면의 가장 북동쪽에 위치하여 마을의 지형이 거미(蝳)와 같은 형국이며 또 마을 대지가 짐승같이 생겼다고 하여 독대(蝳垈)라고 부르다가 독대(獨垈)로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임진왜란 때 흥양현감 배흥립(裵興立)이 충무공 위하에서 많은 공을 세웠으므로 장군의 ‘충현비’가 이곳에 건립되었다가 2001년 과역면 소재지 현충탑 비석거리로 이설되었다. |
연등 (蓮燈) |
마을 앞 산이 연화산(蓮花山)과 옥등산(玉燈山)이 병풍처럼 마을을 감싸고 있어 연화산의 연(蓮)자와 옥등산의 등(燈)자를 합하여 마을 명을 연등(蓮燈)이라 칭한 이래 변함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슬항 (瑟項) |
옛날 해변에 가까운 곳에 마을이 형성되어 그때부터 마을 명을 찬물이 많이 나는 곳이므로 “찬물등”이라고 불렀으며 마을 뒷 월악산의 산세가 선인 무수형국으로서 옥녀(玉女)가 비파(瑟)를 안고 비파를 울리면 선인이 가무를 즐길 것이라 하여 마을 명을 다시 슬항(瑟項)으로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외호 (外湖) |
약 300여 년 전 밀양박씨와 제주 고씨가 마을 터를 잡았다라고 본래 섬에 형성된 마을로 지형이 마치 자라(鼈)와 같다는 뜻으로 별도(鼈島)로 불리어 온 것을 간편하게 오도(吳島)로 불러 오다가 연륙제방공사로 육지와 연결되어 마을 명을 호수 밖의 마을이라는 뜻으로 1986년 외호(外湖)로 고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호덕리 | 호덕 (虎德) |
마을 뒷 주산(主山)이 복호형국(伏虎形局)이라 하였으며 아래 마을이므로 “호동(虎洞)”이라 불렀으며 주산인 호덕산 옆에 개형국의 산이 있어 호랑이의 먹이가 풍부하여 호랑이가 덕이 있어 마을이 번창할 것이라는 뜻으로 1914년 일제강점기 초기에 지방행정구역 폐합시 마을명을 호동(虎洞)을 호덕(虎德)으로 개칭한 이래 변함없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여동 (麗洞) |
호덕리 지역에 속하며 마을을 에워싸고 있는 산(山)의 형국이 까치집과 같으며 까치가 많이 서식하였다고 하여 작포(鵲浦) 즉 “작개” 라고 불러 오다가 일제강점기 초기 1914년 지방행정구역 폐합 당시 마을안의 꽃이 많아 화려한 마을이라는 뜻으로 마을 명을 여동(麗洞)이라 고쳐 부른 이래 1986.7.14리동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법정마을로 독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화덕 (火德) |
설촌(設村) 당시 마을명은 “터예(垈禮)”라하였는데 옛날 소태봉에서 풍수들이 동쪽으로 뻗어 있는 능선을따라 대명지(大明地)가 있다고 하여 이곳에 마을이 형성되면 번창할 것이라는 뜻으로 집터 대(垈,터)자와 예도 예(禮)자를 써서 “터예”라고 불리어 오다가 일제강점기 초기 1914년 지방행정구역 폐합 당시 마을뒷산의 형국(形局)이 화로와 같으므로 마을명을 다시 화덕(火德)으로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석봉리 | 석촌 (石村) |
옛날 마을 앞에 큰 바위가 박혀있어 이 바위가 동쪽으로 비스듬히 누워있을 때 마을이 빈촌(貧村)이었으나 어느 스님이 마을 앞 큰 바위를 바로 세우면 마을이 번창 할 것이라 하자 전 동민이 바위를 바로 세웠으며 마을 명을 바윗돌을 상징하여 “돌배기”라고 불러오다가 1936년 일제강점기 때 마을 명을 한자화할 당시 돌이 많은 마을이라는 뜻으로 석촌(石村)이라 고쳐 부르게 되었다. |
봉촌 (鳳村) |
처음 기계 유(兪)씨가 설촌(設村)할 때 마을 명을 “진목정”이라 칭하였으나 1640년경 보성 오(吳)씨가 입촌(入村)할때에 마을 동쪽산의 지형(地形)이 봉과 같으므로 봉이 바다로 난다는 뜻에서 “동봉포(桐鳳浦)”라고 개명한 후 1830년 조선조(朝鮮朝) 철종년간(哲宗年間)에 이르러 여산 송씨와 김녕 김씨 합의하에 다시 마을 名을 한자로 봉촌(鳳村)이라 개칭한 이래 변함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가산 (佳山) |
마을 동(東)쪽산의 형국(形局)이 “개”의 모습과 같아 마을 명을 “개뫼”또는 “구산(狗山)”이라고 입향조(入鄕祖)가 불렀다하며 그 후 1929년 일제강점기 시대에 오강서원(五岡書院)출신 김영일(金永一)이 마을뒷산 형세(形勢)가 아름답다는 뜻으로 마을 명을 아름다울 가(佳)자를 붙여 가산(佳山)으로 개칭한 이래 변함없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월악 (月樂) |
옛날 월악산(月樂山)이 높이 솟은 마을 형국이 소쿠리형으로 생겨 해와 달이 떴다가 반나절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하여 마을명을 “다래기”라 불리어 오다가 마을 지형이 월체(月體)형으로서 마을 뒤의 월악산(月樂山)이 오행상 선인무유(仙人無柚)가 있다하여 끝자를 악(樂)자로 마을 명을 다시 “월악(月樂)으로 칭한 이후 변함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과역리 | 원등 (院燈) |
조선후기에 흥양현 관내 5개 원중(院中) 하나인 복제원(卜梯院)이 있었던 곳이라 하여 마을명을 “원등(院燈)”이라 불려 왔으며 일제강점기 초기 1914년 지방행정구역 폐합 당시 과역리에 속하였다가 1936년 리동행정 구역개편에 따라 독립마을로 분리된 이후 변함없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송학 (松鶴) |
현송학과 원등마을의 중앙부에 5일과 10일 시장(市場)이 형성(形成)되고 있어 마을 명을 “구장터”라고 불리어 오다가 1914년 지방행정구역 폐합 당시 구장터를 송학과 원등으로 분리 될 때 마을주변의 노송이 울창하고 천연기념물인 학이 마을 노송에 날아와 수없이 서식하여 마을 명을 송학(松鶴)이라 고친 이후 변함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민등 (珉燈) |
1940년 민등(珉燈)저수지가 시설되기 이전에 큰 연못이 있어 연못에서 마을에 비추는 물빛이 마치 구슬같이 보인다고 하여 마을 명을 옥돌 민(珉)자에 등불같이 밝다는 뜻으로 등불 등(燈)자를 써서 민등(珉燈)으로 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유동 (柳洞) |
당초 마을 명을 분해(粉海)라 하였는데 설촌(設村) 당시 마을 앞 약 1km지점까지 바닷물이 들어와 마치 해수(海水)가 가루처럼 보인다고 하여 분해(粉海)라 불러오다가 식수(샘물)가 가장 좋은 마을이라 하여 한때는 “샘골”로 불렀으며 1914년 일제강점기 초기에 지방행정구역 폐합 당시 마을주변에 버드나무가 무성하여 마을지형이 버드나무처럼 휘늘어졌다는 뜻으로 버드나무 유(柳)자와 골 동(洞)자를 써서 마을 명을 유동(柳洞)이라 고쳐 부른 이래 변함없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상분 (上粉) |
마을 뒷 산 복호산(伏虎山)의 지형이 호랑이가 엎드려 있는 호랑이 꼬리 형국이라하여 마을 명을 “虎尾洞”이라고 불러 왔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초기에 지방행정구역 폐합 당시 마을 앞을 흐르는 하천(河川)에 호분(虎糞)가루가 흐르는 곳이라 하여 분천(糞川, 분내)마을 명을 분천으로 개칭 도로 윗쪽을 상분(上粉) 아래쪽을 하분(下粉)으로 명명, 법정마을로 독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하분 (下粉) |
마을 뒷 산 복호산(伏虎山)의 지형이 호랑이가 엎드려 있는 호랑이 꼬리 형국이라하여 마을 명을 “虎尾洞”이라고 불러 왔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초기에 지방행정구역 폐합 당시 마을 앞을 흐르는 하천(河川)에 호분(虎糞)가루가 흐르는 곳이라 하여 분천(糞川, 분내)마을 명을 분천으로 개칭 도로 윗쪽을 상분(上粉) 아래쪽을 하분(下粉)으로 명명, 법정마을로 독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노일리 | 내로 (內老) |
당초 마을 명을 흥양군 남면(남양면과 합병당시)“노나리”라고 불리어오다가 1910년 한일강제합병과 동시 과역면 2代면장 조방호(趙芳浩)가 마을 명을 노일리(老日里)의 중심 마을이라 하여 노일리(老羅里) 안쪽이라는 뜻으로 안 내(內)자를 써서 내로(內老)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집단주택지가 4군데로 분리되어 형성됐다하여 지금도 골몰, 양짝, 세돔, 음짝 등으로 부른다.) |
호곡 (虎谷) |
마을 뒷산 복호산이 호랑이의 발(足) 형국이며 호랑이 발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마을명을 “족소리(足所里)”로 불리어오다가 설촌(設村)당시 류영택(柳榮澤)이 호랑이가 살았던 복호산 밑 골짜기의 마을이므로 마을 명을 호곡(虎谷)이라 개칭한 이래 변함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외로 (外老) |
당초 마을명 “흥양군 남면 노나리”라고 불러오다가 1910년 한일강제병합과 동시 분리하면서 안쪽마을을 내로(內老)라고 하였고 본 마을은 노나리 북쪽편 밖에 있다하여 외로(外老)라고 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도천리 | 상송 (上松) |
처음 마을 앞 전답에 삼을 재배하여 질삼을 많이 하는 마을이라 하여 “삼밭골”이라 불리어오다가 설촌(設村)당시 입향조(入鄕祖) 김승룡(金承龍)이 마을 주변에 소나무가 많고 중군산 계곡물이 사계절 마을 앞에 흐르고 있다하여 소나무 송(松)자와 냇 천(川)자를 붙여 마을 명을 “송천(松川)”이라 하였으며 1920년경 일제강점기 초기에 지방행정구역개편에 따라 송천(松川)이 2개 마을로 분리 되면서 윗쪽에 위치한 마을이므로 상송(上松)이라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하송 (下松) |
1580년경 박상동(朴尙東)이 설촌(設村)당시 흥양현 남면 “솔래”라고 마을명을 불렀으며 1810년 조선 순조 때 마을의 중앙지에 소나무가 무성하고 중군산 계곡물이 흐른다는 뜻으로 마을명을 송천(松川)으로 개칭한 후 다시 ‘하송(下松)’으로 분리되면서 변함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방란 (芳蘭) |
과역면 노일리 지역(地域)에 속하였던 마을로 이름을 “우천”으로 불러 오다가 1952년 리동행정구역개편에 따라 마을주변에 난초와 꽃나무가 많아 풍경이 좋은 마을이라 하여 마을 이름을 꽃다울 방(芳)자와 난초 난(蘭)자를 합하여 방란(芳蘭)으로 고쳐 부른 이래 1986년 7월 14일 리동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법정마을로 독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도야 (道也) |
당초 마을 이름은 문씨(文氏)가 처음 입촌(入村)하였다고 하여 문사동(문사골)이라고 칭하다가 서기 1900년경 분산되어 있는 상·하송 방란을 송천이라고 하였으며, 본 마을을 합하여 “솔도야(송도야)”라고 개칭하였다고 한 후 마을 앞 간척지 제방이 축조되면서 두원면과 남양면을 연결하는 길목이라고 하여 길 도(道)자 잇다를 야(也)자를 출합하여 도야(道也)라 개칭 현재에 이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