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식 웹사이트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본문 바로 가기

우주항공중심도시 고흥

우주항공중심도시 고흥

인구 10만 비전

연혁

천년의 역사속에서 새로운 내일이 태어납니다.

선사시대

구석기시대 문화층(몸돌, 격지 등 출토)은 고흥-녹동간 도로 공사 중에 한동 유적이 발굴되면서 확인되었으나 아직까지 신석기시대 문화층이나 유물은 발견되지 않음.
1984년 장수제 지석묘(고인돌) 발굴조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학술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청동기 시대 다수의 지석묘(고인돌)와 주거지, 다양한 유물이 확인됨

삼국시대

백제 때 고흥 지역에 조조례현(현 남양면), 두힐현(현 두원면), 비사현(현 동강면)이 있었음. 세 현은 분차군(현 순천 낙안면)에 편입.
최근 안동고분과 야막고분 등이 발굴되면서 새로운 고고학 성과가 축적

통일 신라시대

경덕왕 16년(757) - 지방제도가 개편되면서 분차군이 분령군으로 개명 조조례현이 충렬현으로, 두힐현이 강원현으로, 비사현이 백주현으로 개칭

고려시대

태조 23년(940) - 충렬현이 남양현으로, 강원현이 두원현으로, 백주현이 태강현으로 개칭
현종 9년(1018) - 분령군이 나주목에 편입되면서 고흥 영역의 세 현이 보성군으로 편입
선종 5년(1088) - 타주부곡이 도화현으로 승격
인종 21년(1143) - 두원현에 감무 파견
고흥 영역의 현들이 보성군에서 장흥부로 편입
충렬왕 11년(1285) - 장흥부 고이부곡이 류청신의 공으로 고흥현으로 승격, 감무 파견
충선왕 2년(1310) - 보성군 식촌부곡이 이대순의 청으로 풍안현으로 승격
이때쯤 장흥부 도량도부곡이 도양현(현 도양읍)으로 승격한 것으로 추정

조선시대

태조 6년(1397) 조양현에 진을 설치하고 병마사(수령 겸임)를 파견
세종 5년(1423) 조양현에 첨절제사 파견
세종 21년(1439) 고흥현의 치소를 남양현 저천리로 이전(조양진을 고흥현에 편입시킴)
세종 23년(1441) 고흥현의 치소를 봉황산 서쪽(현 고흥읍,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두원현으로 기록)으로 옮기고 고흥현과 보성의 남양현 등을 합쳐 흥양현으로 명칭함 흥양현에 진을 설치함(조양현을 다시 보성으로 편입)
성종 21년(1490) 녹도진성과 발포만호성 축조
성종 22년(1491) 여도진성과 사도진성(사도진은 1427년에 설치) 축조
중종 18년(1523) 백석포장성과 풍안평장성 축조
고종 32년(1895) 나주부 관할 흥양군이 됨
고종 33년(1896) 흥양군 소속 섬들이 돌산군 관할도서로 편입 전라남도가 창설되면서 흥양군은 전라남도의 2등군郡이 됨

일제 강점

1914년 - 흥양군에서 고흥군으로 개편 돌산군 금산면·봉래면·옥장면의 내장도, 내외백일리와 완도군 득량도, 보성남하면 등을 편입 읍내면에서 고흥면으로 명칭 변경
1931년 - 고읍면에서 풍양면으로 명칭 변경
남면이 과역면으로 명칭 변경

광복이후

1973년 - 도양면이 도양읍으로 승격
1973년 - 도양읍 도덕출장소 설치
1974년 - 도양읍 소록도에 소록출장소 설치
1979년 - 고흥면이 고흥읍으로 승격
1983년 - 도양읍 도덕출장소가 도덕면으로 승격
1983년 - 금산면 오천리에 오천출장소가 설치
1986년 - 점암면 양사출장소가 산내면으로 승격
1989년 - 산내면이 영남면으로 명칭 변경
1990년 - 봉래면의 내도출장소가 동일면으로 승격
포두면 송산리 송산출장소 설치
1998년 - 포두면 송산리 송산출장소 및 금산면 오천출장소 폐지
현재 - 2읍 14면 2출장소
  • 관리부서

    행정과

  • 연락처

    061-830-5237

  • 최종수정일

    2023-11-06 10:20

  •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