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식 웹사이트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본문 바로 가기

우주항공중심도시 고흥

우주항공중심도시 고흥

인구 10만 비전

도덕면

연혁

  • 538년 백제 시대 : 도량부곡
  • 1310년 고려시대 : 도양현 승격
  • 1441년 세종 23년 : 본 군 7현은 흥양현으로 통합
  • 1759년, 영조 35년 : 도양면(흥양지 참조)
  • 1895년 5월 1일 : 흥양군 도양면[흥양현(7현)이 “흥양군”으로 개편]
  • 1896년 8월 4일 : 오마도(남원부 돌산군 금산면 소속, 칙령 제36호)
  • 1914년 3월 1일 : 흥양군 → 고흥군으로 명칭변경. 한일합병이후 전라남도 흥양군에 府, 郡, 面 폐합, 13개면으로 개편함.
  • 1914년 3월 1일 : 오마리 (전라남도 금산면 소속)
  • 1963년 1월 1일 : 금산면 오마리 “도양면”에 편입(법률 제1175호)
  • 1973년 7월 1일 : 도양읍 도덕출장소 설치.(대통령령 제6543호)
  • 1983년 2월 15일 : 도덕면으로 승격 (도양읍 도덕출장소에서, 대통령령 제11027호). 현재 6개리 31개 마을을 관할함

지명유래

도덕면 지명유래-가야리(가야굴),도덕리,봉덕리,신양리,오마리,용동리
가야리
(가야굴)
가야리
(가야굴)
본래 흥양군 도덕면의 지역으로 가야, 당동, 대곡 등의 마을을 합하여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시 그전 가야마을의 이름을 따서 가야리라고 하였으며, 가야리의 중부인 당중마을 인근 지형이 소가 무릎을 꿇고 앉은 형이라 하여 우슬리 라고도 하고, 남가야와 북가야로 구별하기도 하는데 옛날 이 마을에 메밀, 잣, 밤나무가 많아 가야라 부른다는 설도 있다. 인동장씨, 고령신씨, 남양방씨의 성이 많다.
가동 가야리의 동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가동이라 한다.
가상 가야리의 윗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가상이라 한다.
성항 마을이 우슬목 목장(흥양목장의 속장) 가는 목에 위치하여 성깨, 성목등으로 불리다가 한자로 성항이라 한다.
당동 옛날 이 마을에 사당이 있어 당동이라 하며, 마을이 위에 있어 당상이라고도 한다.
당중 옛날 사당이 있는 마을의 가운데 마을이라는 뜻에서 당중이라 한다.
당남 옛날 사당이 있는 아랫마을에 해당되므로 당하 또는 당남, 월이라고도 부른다.
동촌 방씨가 자자일촌이라 하여 방촌으로 불리다가 가야리 동쪽에 위치함으로 1956년 동촌으로 개칭
대곡 마을이 큰 골짜기에 있으므로 땅골 또는 대곡이라 한다.
도덕리 도덕리 본래 흥양군 도양면의 지역으로 도촌, 덕흥, 봉동일부를 합하여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시 도촌, 덕흥 두 마을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도덕리라 하였다. 안동김씨의 성이 많다.
덕흥
(상마당)
덕으로써 마을의 번창을 바라는 뜻에서 덕흥이라 한다.
도촌
(비도리)
도덕리의 중심이 되는 마을로써 비도리라 하다가 도자와 촌자를 합하여 도촌이라 한다.
백옥 마을 앞에서 흰 옥이 많이 생산되어 백옥이라 한다.
어영 마을 앞 연못에 물고기가 놀았으므로 어영이라 한다.
율동
(밤골)
예전에 마을 주위에 밤나무가 많아 “밤골”이라 부르다가 한자로 표기하여 율동이라 부른다.
학동 국도와 군도의 교차지점에 위치한 상권이 형성된 신흥마을로써 면사무소 소재지이며 지형이 학의 형상이라 하여 학동이라고 한다..
봉덕리 봉덕리 본래 흥양군 도양면의 지역으로 봉덕리와 덕흥리 일부를 합하여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되었다. 봉덕이라는 지명은 해발 123m 봉덕산에서 유래되었다.
내봉
(삼불이)
봉덕산의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서 내봉이라고 하며, 옛날 절이 세 개가 있었다하여 삼불이라고도 한다.
외봉 내봉 밖에 있는 마을이라 외봉이라 하였다.
봉성
(망매)
옛날 이 마을 앞에 매화꽃이 많이 피어 망매라 부른다고 하며 또 마을 뒤에서 풍양면 매곡의 망매산이 바라다 보이므로 망매라 부른다고 한다.
봉동
(와동)
마을 앞에서 그전에 기와를 구워냈으므로 와동이라 한다.
신양리 신양리 본래 흥양군 도덕면의 지역으로 문관, 장전, 신양, 장동 등의 여러 마을을 합하여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시 그전 신양마을의 이름을 따서 신양리라고 하였다.
문관
(문꼬지)
세종 때 장흥부의 목장이었던 도양관이 서쪽에 있어 이곳은 목장에 들어가는 문이 됨으로 문관이라 하였다.
신양 마을이 양지바른 곳에 새로 생겼다는 뜻에서 신양이라 한다.
장동
(진골,장구미)
마을이 긴 골짜기 안에 뻗어 있으므로 진골(긴골의 전라도 방언)이라 하며, 지형이 긴곳이 되므로 장구미라 한다.
장전
(장앞)
조선시대의 도양목장 또는 도양시장의 앞이라는 뜻에서 장전이라 한다.
회룡
(도롱굴)
마을의 지형이 풍수지리상 회룡고조형 이므로 회룡이라 하였다.
신성
(귓등)
거북의 등 형상으로 장전마을에서 분동한 새로 형성된 마을이다.
오마리 오마리  1914년 행정구역개편시 고흥군 금산면에 속하였으며, 본래 오마도와 여러섬으로 구성 되었으나 풍양면과 도덕면으로 분리되어 조선후기에 오십도, 영조때 흥양지에는 오질마도라하여 현 남쪽 20리에 있고 주위가 10리이며 조수가 나가면 육지와 이어진다고 하였다. 오마도라는 명칭은 옛 오질마도가 바뀐 것이다.
신흥
(고발도,
괴발섬)
본래 묘도라 하였으며, 고양이를 괴라고 하였으므로 괴발섬이라고 부르다가 괴발도에 새로 생긴 마을이라는 뜻으로 신흥이라 한다.
분매
(불무점)
옛날 이 섬에 물이 없어 불모도라 부르다가 불무섬으로 바뀌었으며, 대머리라는 뜻의 대도 또는 죽도, 독두, 독도로 변화 된 것도 있다.
오마
(봉도)
오마리의 주된 섬으로서 섬의 모양이 봉과 같아 일명 봉도라고도 부른다.
은전
(움밭굼)
오마의 남쪽에 있는 마을로 움밭굼이라 부르다가 같은 뜻의 음점과 은전으로 바뀌었다.
용동리 용동리 본래 흥양군 도덕면의 지역으로 한적, 용동 두 마을을 합하여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시 그전 용동마을의  이름을 따서 용동리라고 하였다.
한적
(대사)
용동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절터가 있어 대사 또는 한적이라 부른다.
금호 옛날 마을 앞에 있는 연못에서 선녀들이 가야금을 타고 풍류를 즐겼다는 전설에 의하여 가야금 금자와 연못의 호자를 합하여 금호라 한다.
용동 풍수지리상 마을 뒷산의 지형이 청룡에 해당되므로 용동이라 한다.
  • 관리부서

    도덕면

  • 연락처

    061-830-6394

  • 최종수정일

    2024-08-27 14:21

  •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