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곡리 |
지북 |
전하는 바에 의하면 유씨가 입촌하여 마을 형성하다 자손이 번창하지 못하고 어디론가 떠난 후 약 200년 전 영광정씨 여림(또는 시필)이란분이 입촌하여 정씨 자자일촌을 형성하였다. 사슴이 즐겨 먹었다는 지초가 많아 “지곡”이라 하였으나 해방 후 마을 이름을 지북이라 고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지남 |
옛날에 “지록곡”, “지곡”이라 불렀는데, 사슴이 즐겨 먹었다는 지초가 많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지북과 지남이 분할되면서 남쪽에 있으므로 “지남”이라 불렀다. |
두곡 |
두곡 마을은 산간 깊숙이 위치한다하여 “두지피(杜地避)”라고 하였고 또는 “뒤시피”라고도 불려졌다. 일제강점기 초기 1914년 지방행정구역 개편 당시 “두지피”을 ‘산골자기가 막혁있다’는 뜻을 골곡(谷)자로 훈차하여 “두곡(杜谷)”이라 고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
학림 |
원래 마을 이름을 “역들”, “골넘에(골짜기)”로 불리어 왔으나 옛날 묘를 쓰기 위해 청강일 하고 있는 곳을 지나는 노승(老僧)이 암벽이 나오면 더 이상 파지 말고 하관(下棺)하라 일렀으나 듣지 않고 암벽을 파니 두 마리의 학(鶴)이 나와 숲에 앉았다하여 산 이름은 학산(鶴山), 마을 이름은 학림(鶴林)이라 불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관덕리 |
관덕 |
1914년 일제강점기 초기 지방행정구역 폐합 당시 관덕과 예동마을을 합하여 관덕리로 하였으며 마을북쪽에 백사정(白沙亭)이 있어 조선시대 이곳에서 백사정(白沙亭)을 만든 곳이므로 처음 마을명을 “백사정”이라 불러 오다가 조선 중엽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지관이 마을 뒤 맹금산의 정기를 받아 덕망이 있는 인재를 후세에 많이 배출될 것이다 하여 “관덕(觀德)”으로 개칭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예동 |
원래는 마을 이름을 “옛골”이라 불렀으나 1956년 리동행정구역 개편시 마을의 앞뒤 산세가 원형을 이루고 있어 온화하고 예절을 숭상하는 마을이라 하여 예동으로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풍류리 |
풍류 |
1914년 일제강점기 초기에 지방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월하(月下), 풍류(風流)의 마을을 합하여 풍류리(風流里)로 하였으며, 마을 뒷산의 산세가 동쪽으로는 옥녀탄금(玉女彈琴)형이고 서쪽으로는 선학가무(仙鶴歌舞)의 형국이라하여 사계절(四季節) 풍치(風致)가 좋은 것을 뜻하여 마을 이름을 “풍류(風流)”라 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상촌 |
풍류리의 높은 곳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웃뜸”이라 불리어 왔으나 1956년 행정구역개편 당시 한자로 표기하여 마을이름을 상촌(上村)이라 고치 이래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월하 |
마을앞에 반월산이라는 조그만한 산이 있어 반월산의 줄기가 뻗어 있는 곳에 위치한 마을이라하여 달 월(月)자와 그 산 아래 마을이라는 뜻으로 아래 하(下)자를 붙혀 마을 이름을 “월하(月下)”로 불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예명을 “달하골” 이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
대금리 |
대동 |
지금으로부터 약1500년전 현재의 대금리 대동마을 인구에 동녘 햇살을 먼저 품에 안은 명산 태산과 서북쪽의 득량만(得粮灣)을 등에 업고 덕산럽게 남쪽을 바라보는 반덕산(半德山), 그 반덕산 중맥 하려에 위치한 대동마을은 동복오씨를 위시하여 많은 성씨가 집합하여 대촌을 이룸으로 당시 이름하기를 “큰골”마을이라 하였는데 그 후 한자 “대동”으로 고쳐 지금에 이르렀다. |
대덕 |
옛날 어느 풍수가 이곳을 지나다가 산세와 지형을 보고 마을 이름을 대덕으로 하면 큰덕을 볼 것 이라 하여 대동에서 분동될 때부터 “대덕(大德)”이라 불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금산 |
옛날 “새별(신성)”, “구리샘”을 합하여 마을 이름을 “한절골”이라 불리어 왔으나 1956년 행정구역개편 당시 마을 뒤에 금성산(錦城山)이 있고 마을 앞으로 소평야(小平野)를 이루는 황금옥토(黃金沃土)가 있어 마을명을 “금산(錦山)”이라 고쳐불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신흥 |
원래는 금산, 둔정동, 새버리란 돔과 원돔 즉 눌개, 날이꽃등이 합하여 신성리라 불리어 오다가 1940년 일제말기에 지방행정구역 폐합 당시 금산에서 분구되어 독립마을이 되면서 마을지형이 개가 누워 있는 모양과 같으므로 한때 마을명을 “눌개” “와포(臥浦)”라 칭하다가 1956년 리동행정구역개편에 따라 새롭게 일어난다는 뜻에서 “신흥(新興)”이라 고쳐부르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용당리 |
구룡 |
일제강점기 초기 1914년 지방행정통폐합 당시에 구룡과 내당을 합하여 두원면 용당리로 하였는데 원래 구룡마을은 풍수지리설에 마을 뒷산의 산세가 마치 아홉 마리 용의 형태로 마을을 감싸고 마을 앞 못 안에는 용모양의 바위가 아홉 개 있어 이 못에 살던 용이 승천하였다는 유래가 있어 마을 이름을 “구룡(九龍)”이라 부르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
내당 |
시초 입기설촌 당시 도당산하(島堂山下)의 지형이 주결망형국으로 마을이 형성되어 있어 원래는 “결망동”이라 불리어 오다가 일제강점기 초기 1914년 지방행정구역통폐합 당시 마을이름을 “내당”이라 개칭하여 변경없이 현재에이르고 있다. |
대전리 |
대전 |
1914년 일제강점기 초기 지방행정구역통폐합 당시 송정, 연강 등을 합하여 대전리로 하였는데 옛날 마을 이름을 “수머리”라 불리어 오다가 마을 앞에 큰 밭이 있어 “큰밭골”이라 하다가 한자로 음차하여 대전(大田)으로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백사노송(白沙老松)이 장관을 이루는 대전해수욕장이 있어 유명하다. |
송정 |
1914년 일제초기 지방행정구역통폐합 당시 대전리로 편입되었으나 1956년 우리나라 리동행정구역개편에 따라 독립마을로분리 될 때 옛날 마을 아래쪽 산기슭에 소나무가 정자와 같이 우거져 있어 마을 이름을 “송정(松亭)”으로 고쳐불러 변화 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연강 |
마을주위에 큰밭이 많다고 하여 한때 “큰밭골”이라 불러 오다가 일제강점기 당시 지방행정구역개편에 따라 “연비(燕飛)”라 칭하였으나 정부수립 이후 1975년 1월1일 자연부락으로 마을앞산의 산세가 마치 제비가 나는 형국이라하여 마을 이름을 “연강(燕岡)”으로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예회리 |
예회 |
고려말엽 배씨 이씨가 살았다하여 “배이동(裵李洞)”이란 소지명이 있으며 지형이 싯돌과 같으므로 “여호”라 칭하였으나 조선 1880년(고종 17)에 지방행정구역개폐합 당시 예날 예조판서(禮曹判書)가 이 마을을 지나다가 이곳에서 쉬어 갔으므로 마을사람들의 예의범절에 감탄하여 마을 이름을 예회라 고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상예 |
일제강점기 초기 1914년 지방행정통폐합 당시 예회, 상예 마을을 합하여 예회리라 하였다. 옛 지명은 “웃여우”로 윗예회를 부르는 이름이며 훈차하여 상예로 명명하였다. |
성두리 |
진목 |
옛날 이곳에 참나무가 많아 진목이라 불리어오다가 마을 우측에 금성산의 산세가 마치 백호형국(白虎形局)이므로 호랑이 머리지점에 마을이 생겼다하여 한때 마을 이름을 “호두(虎頭)”라 불렀다. 1956년 리동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다시 “진목(眞木)”이라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차수 |
마을 뒷산에 차나무가 있어 마을 이름을 “차나무등”이라 불리어 오다가 일제강점기 당시 “차수”라 부르다가 1956년 리동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자연부락으로 독립되면서 옛 마을 유래를 계승하는 뜻에서 “차수”라 불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성두 |
옛날 두원현의 현치소에 속한 마을로서 당시의 성의 흔적이 마을 주위에 남아 있으며 처음 마을명을 “성리”라 불리어오다가 2004년 군조례를 개정하여 성리가 아닌 “성두”로 고쳐 불렀다. |
영오리 |
영동 |
약 500년 전 마을을 만들 당시 영동이라 칭하였으나 그 후 수려하여 이곳에 ‘영적사’라는 절이 있었으므로 고을의 선비들이 모여 글을 읽었다 하여 마을 이름을 “영적(永迪)”이라고 불러오다가 1460년 밀양박씨가 들어와 마을을 만들면서 다시 “영동(永洞)이라 고친 후 변함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오수 |
삼면이 야산으로 둘러 있어 산수가 수려하고 동쪽은 바다에 접하고 있어 호연지기가 용솟음치는 고장이다. 원래 마을 지형이 까마귀 집 모양으로 형성됐다 하여 “오소(烏巢)”라고 불러 왔으나 마을주변에 오동나무가 많아 한때 “오동나무골”이라고 불렀으며, 그 무렵에 오동나무골을 한자로 음차하여 마을 이름을 오수(梧樹)라고 고쳐 지금에 이르고 있다. |
용산리 |
와룡 |
원래 마을 앞까지 바다여서 배가 드나드는 선창이 있어 ‘선창개’라 칭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통폐합 당시 주산(主山)이 용(龍)의 형국이라 하여 와룡(臥龍)이라 고쳐 불렀으며 두곡(杜谷)으로부터 박씨가 입주하기 전 한씨, 오씨, 김씨가 살았다고 한다. 당시 불효였던 김씨가 3대 독자 아들이 익사하자 영주지가 못 된다 하여 대지주(大地主)였던 김씨가 떠나므로 타성씨도 점차 떠나 버렸다. 이곳이 빈터였기에 약210년 전인 1785년 박씨가 들어와 현재에 이르고 있다. |
대산 |
원래 용산리에 속하며 마을 서쪽으로 뻗은 등서리 위쪽을 상대(上垈), 아랫쪽을 하대(下垈)라 칭하였으며 마을주변에 대나무가 많아 마을명을 “대뫼”라고 불리어 오다가 일제말에 유시규(柳時奎) 외 선비들은 한때 마을명을 개명하여 서산(瑞山)시 이라고 했으나 약150여년전 전부터 집터 대(垈)자, 뫼 산(山)자를 한자로 표기하여 대산(垈山)으로 개칭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신월 |
원래 대산(垈山)마을 아래쪽에 있다하여 아랫대산이라 하여 왔으나 1992년 10월 1일자로 분리되어 마을 이름을 “새롭게 뜨는 달”이라는 한자 뜻으로 “신월(新月)” 마을이라 불러 온다. |
금계 |
풍수가 마을을 지나다가 마을 뒷산에 금계포란형(金鷄包卵形)의 명당자리가 있다고 하여 “금계(金鷄)”라 하다가 하천이 흐르므로 시내 계(溪)자로 바꾸어 마을 이름을 “금계(金溪)”라 칭한 이래 변함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신송리 |
서신 |
옛날에는 “간둔(艮屯)”이라 불렀고 신송리의 중앙에 위치한다하여 “내송(內松)”이라 하였는데 마을 지형이 와우형국(臥牛形局)으로서 남쪽으로 소머리와 소뿔 북쪽으로 소다리, 마을 중앙이 소 유방지점에 해당한다 하여 이곳에 ‘통샘물’이 용솟아 인근마을까지 식수로 사용하고 있어 일명 샘물을 우유(牛乳)라고 하였으며 1914년 일제강점기 초기 지방행정구역 개편 당시 신송리로 통합되면서 서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서신(西新)”이라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반송 |
예전에 “소반등”이라 하였고 이 마을에서 고흥읍 주월산으로 배(船)가 넘어 갔다 하여 마을 이름을 “배실”이라 불러 왔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초기에 지방행정구역 개편 당시 신송리로 통합되면서 소반등을 한자로 “반송(盤松)”이라 개칭한 후 1956년 리동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독립마을이 됐다. |
동신 |
조선시대에는 “간둔(艮屯)” 또는 삼밭이 많은 곳이라 하여 마을 이름을 “마전동(麻田洞)”이라 불러 오다가 일제초기 1914년에 지방행정구역개편 당시 신송리의 동쪽에 위치한다 하여 마을 이름을 “동신(東新)”이라 개칭한 후 1956년 리동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독립마을이 된 이래 변함 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외신 |
운암산의 원지류인 천황산세(天皇山洗)의 끝에 뻗어 안태봉(安泰峰)이 솟아 있는 서남쪽에 위치한 마을로서 학곡천, 신송천, 용산천, 합류하고 있어 옛날에는 “간둔(艮屯)”이라 불리어 오기도 했다. 원래 신송리에 속해 있으면서 마을이 2개 마을로 떨어져 있었다. 윗마을은 “새멀”이라 불러 왔고, 아랫마을은 “매작들”이라 했는데 현재는 경지정리 관계로 아랫마을이 윗마을로 합해졌으며, “외신(外新)”이라 부르기 전에는 “반동(般洞)”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일제강점기 초기인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 당시 외신이라 개칭하였는데 광복이후 1956년 리동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독립마을로 되면서 변경 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1926년 8월 6일부터 1949년 1월 8일까지 두원면사무소가 있었던 마을이다. |
용반리 |
반산 |
반산마을은 약400년 전 조선조 명종 때 밀양박씨시조 혁거세55대손 응진(應愼)이 이곳에 터를 마련하고 약30년 후 여양송씨 시조14대손 운림(雲霖)이 동강면 마륜에서 이곳에 정착하여 박, 송 양성(兩性)이 거주 마을 이름을 망동(望洞)이라 하였다가 후기 김영김씨, 안동김씨, 고령신씨, 창녕조씨 등 6개 성씨가 살아오다가 조선말에 마을 이름을 “반산(盤山)”이라 고쳐 불러 오던 중 1965년 작은 마을 지등(池登)이 분동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지등 |
914년 일제강점기 초기에 지방행정구역통폐합 당시 “지등(池登)”마을은 용반리에 편입되었으나 정부수립 후 1956년 리동행정구성 개편에 따라 예부터 마을 등너머로 옥녀봉(玉女峰) 못(현 안양제)에 비추므로 못 지(池)자를 따서 마을 이름을 “지등(池登)”이라 칭하고 자연마을로 독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금성 |
1717년에는 취용동(聚龍洞)리로 표기되었고 1789년에는 금성(金城)리로 기록되었다. 1914년 부군폐합 시 용두리, 금성리, 반산리, 지등리를 합쳐 용반리로 하였다. 광복 후 행정구역 개편 시 금성마을이 되었다. 금성마을의 옛 지명은 “쇠재”, “안쇠재”로 마을 뒷산 구절산이 소형국으로 구절산 재를 소재라 하고 마을이름을 쇠재로 발음하였다. |
동촌 |
1789년 자료에는 용두(龍頭)리로 표기되었고 1912년에는 용두리로 기록되었다. 1914년 부군폐합 시 용두리, 금성리, 반산리, 지등리를 합쳐 용반리로 하였다. 광복 후 행정구역개편 시 동촌마을이 되었다. 용두마을의 옛 지명은 "용머리"로 마을 지형이 용머러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졌고 훈차하여 용두로 쓰였다. 용두가 1920년경 용반리의 동쪽에 있다고 하여 동촌으로 개칭된 후 지금에 이르고 있다. |
운대리 |
금오 |
금오마을의 옛 지명은 “대절골”이라고 하였는데 마을 위에 큰 절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훈차하여 죽사동이라고 표기하였다. 이후 뒷산 형세가 옥녀가 거문고를 타고 있는 형국이라고 하여 금(琴)오(梧)라고 하다가 글자가 복잡하다고 하여 금오(金吾)로 |
중대 |
중대(中垈)마을 입구에 지석묘군 (11기)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곳은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집단으로 살았던 곳으로 추정된다. 중대마을 옛 지명은 절터골, 독적골, 사구시, 장군바위, 역마들, 망봉, 구슬봉, 장밭, 배다리 등으로 불리어 군사적요충지 또는 문물의 집산지라고 추정된 곳이며 옛날 고흥읍에 가까운 내륙 깊숙이 배가 닿았다고 하나 현재는 간척 및 경지정리로 변하여 육지화 되었고 1950년 행정구역개편 당시 석촌과 중대로 분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석촌 |
옛날에 이곳에 장씨가 많이 살았으므로 한때 “장촌”이라 불리어오다가 해방 후 1956년 리동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중대(中垈)”에서 분리(分里)되어 마을 앞 조그만 돌산이 많아 마을 이름을 “석촌(石村)”이라 고쳐 불러고 조선시대에 옹기를 만들어 팔던 곳으로 마을 앞에 맑은 시냇물이 흐르고 마을 뒤에는 작은굴, 큰굴이 있어 사기그릇 조각들이 많아 “사기시” 또는 “사구시” 흔적이 있는 마을이다. |
상대 |
운대(雲垈)리에 속하며 옛날에는 정씨자자일촌(丁氏子子一村)이라하여 “정촌(丁村)”이라고 불렀으며 조선시대에 사기(도요)를 많이 구어 팔았다하여 “사구시”라 불리어 왔으나 1956년 리동행정구역 개편 당시 운대리의 위쪽 높은 곳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마을 이름을 “상대(上垈)”로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운곡 |
마을 뒤 운암산 중복에 고려 공민왕 19년 중수한 수도암이 있고 마을 앞에 정조 을사년(1785)에 건립한 운곡사가 있어 고종 때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철거되었으며 당초 마을명은 “사구시”라 불렀으며, 운암산 골짜기에 위치한 마을이므로 “운곡(雲谷)”이라 불렀다. 1914년 일제초기에 지방행정 통폐합 당시 운대리로 편입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