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식 웹사이트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본문 바로 가기

우주항공중심도시 고흥

우주항공중심도시 고흥

인구 10만 비전

영남면

연혁

  • 1897년 조선조 말기인 고종대 점암면은 산내면과 산외면으로 분할됨
  • 1907년 산내면은 다시 점암면으로 통합
  • 1966.12. 1  군 조례 제115호에 의거 점암면 양사출장소 설치
  • 1986. 3.27  대통령훈령제11814호에 의거 산내면으로 승격되어 양사리,금사리, 남열리, 우천리 4개리를 관할
  • 1989. 4. 1 군 조례 제1225호에 의거 영남면으로 명칭 변경

지명유래

영남면 지명유래-금사리(錦蛇里),양사리(楊蛇里),남열리(南悅里),우천리(牛川里)
금사리
(錦蛇里)
사도
(蛇渡)
옛날 어느 풍수가 이곳을 지나가다 이 지형이 뱀형(蛇形)이며 마을 앞바다에 와도(蛙島)라는 섬이 있어 마치 뱀이 개구리를 잡기위해 건너가는(渡) 모습이라는 뜻에서 마을 이름을 사도(蛇渡)라 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조선시대 수군첨사의 객사와 동헌 터가 있다.
능정
(陵亭)
조선초기 성종11년(1486)사도진성이 설치될 때부터 사도첨사영에서 오리쯤 떨어진 곳에 정자나무가 있어 관원들이 왕래하면서 이 정자나무 아래서 쉬어간 곳이라 하여 지명을 오리정(五里亭)이라 불리어 왔으며 임진왜란 후 지세가 금능형국(金陵形局)이므로 오리정을 개칭하여 능정(陵亭)이라 불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만호
(萬戶)
1960년 초에 마을을 지나가던 스님이 산세와 지세를 보고 앞으로 만호(萬戶)가 살 수 있는 대촌이 형성 될 것이라 하여 만호동(萬戶洞)이라 부르게 됐으며, 1972년 리동행정구역 개편 시 금사리 능정에서 분동되어 만호(萬戶)마을로 독립 현재에 이르고 있다.
양사리
(楊蛇里)
사포
(蛇浦)
본래 장씨가 입향 설촌하면서 마을의 지형이 뱀꼬리 형국이며 마을 앞으로 깊숙이 바다가 들어와 배가 닿는 포구였으므로 뱀개 또는 사포(蛇浦)라고 칭하게 되었으며 지금은 마을 앞이 간척사업으로 제방이 축조되었고 옛날 왜적을 방비하기 위한 석성이 남아 있다
양화
(楊花)
마을 앞산이 꾀꼬리와 같으며 꾀꼬리는 버드나무에 잘 날아와 앉으므로 이 꾀꼬리를 꽃으로 비유하여 양화(楊花)라 칭한 후 현재까지 변함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남열리
(南悅里)
남열
(南悅)
본래 흥양군 점암면의 지역으로 옛날 이름을 “내몰”이라 불리어 오다가 내몰은 속칭이므로 면 소재지에서 동남부 깊숙이 마을이 팔영산의 줄기에 의하여 형성된 해변에 위치하고 있다하여 남열(南悅)이라 개칭 현재에 이르고 있다.
우천리
(牛川里)
간천
(艮川)
음양오행으로 볼 때 마을 앞의 하천이 동쪽으로 흐른다하여 팔괘의 하나인 간(艮)자를 붙였으며, 이는 오행에 해당하는 방위 동북쪽을 의미하므로 이름을 간천(艮川)이라 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우암
(牛岩)
본래 우천리에서 분리된 마을로서 옛날 도승이 이곳을 지나다가 마을 뒷산 남쪽 아래에 있는 바위에 소의 발자국이 깊이 찍혀 있는 것을 보고 ‘쇠바위’라고 마을 이름을 지었다고 하며 1956년 리동행정구역 개편 시 쇠바위를 한자로 우암(牛岩)이라 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용암
(龍岩)
본래 우암에 속한 마을로서 1986년 우암마을에서 분동 되였으며 마을 앞 절벽에 유명한 용바위가 있어 마을 이름을 용암(龍岩)이라 칭하고 용바위 옆에는 약 200평 정도의 넓고 평평한 바위가 깔려 있어 기암절벽의 관광지로 이름난 마을이다.
신성
(新城)
옛날 마을 앞에 세 갈래의 길이나 있어 마을 명을 “삼거리”라 불러 오다가 1956년 리동행정구역 개편 시 마을이 차츰 커져 큰 마을로 번창하므로 새로운 성(城)에 비유하여 신성(新城)이라 개칭 현재에 이르고 있다.
우두
(牛頭)
마을 뒤쪽으로 높은 우각산(牛角山)이 솟아있고 마을이 소의 머리에 해당되므로 마을 명을 “쇠머리”라 불리어 오다가 한자로 표기하여 우두(牛頭)로 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관리부서

    영남면

  • 연락처

    061-830-6373

  • 최종수정일

    2020-02-26 20:55

  •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